건강칼럼
H > 커뮤니티 > 건강칼럼
제목
췌장암 환자의 25%가 OO한다...췌장암 발생 막으려면


췌장암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한다. 가장 강력한 환경적 요인은 흡연이다. 전체 췌장암 발생의 20~25% 정도가 흡연으로 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1형이나 2형 당뇨병을 오래 앓아도 일반인보다 췌장암 발생 위험이 커진다. 일부 환자에서는 췌장암으로 인해 당뇨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1년 이내에 새로 진단된 당뇨병 환자, 고령에서 갑자기 발병한 당뇨병 환자에서 췌장암 발병 위험이 높다. 이 밖에 비만과 만성 췌장염 등이 위험 인자로 꼽힌다.췌장암을 완치하려면 암 조직을 잘라내는 수술을 해야 한다. 하지만 췌장암 수술을 받을 수 있으려면 암이 주위 혈관을 침습하지 않고, 간이나 폐로 원격전이가 없는 1, 2기에 속해야 한다. 그런데 아직 조기에 췌장암을 발견하기가 어려워 진단받은 환자의 30% 정도만 수술받을 수 있다. 완치적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가 80~90%에 이르는 것. 따라서 췌장암으로 진단됐을 때 절제가 가능하다면 적극적으로 수술 및 항암 약물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보조적 방사선치료가 있으나 효과가 명확히 확립되지는 않았다. 호르몬치료나 면역치료 등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효과가 확립된 것은 없다.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80세 이상 고령 환자일지라도 수술을 견딜 수 있는 환자가 수술받을 경우 그 효과가 연령대가 낮은 환자에서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령일지라도 수술이나 항암약물 치료를 포기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 암 진단 당시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하더라도 보존적 치료를 받는 것이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므로 치료를 포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아직 췌장암을 예방하는 뚜렷한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것들을 일상에서 제거하거나 피하는 식으로 예방해야 한다. 먼저, 흡연자에서 췌장암 발생이 2~5배 높게 보고되므로, 흡연자라면 지금 바로 금연해야 한다. 또, 음주는 췌장염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인데, 췌장염 병력은 췌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금주하거나 절주해야 한다. 아울러 고지방, 고칼로리 식사를 피하고,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하는 등 식생활을 개선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기본이다.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이승호 원장 (늘속편한내과의원 소화기내과 전문의)